[vc_row][vc_column][vc_column_text]
On-going project
[/vc_column_text][/vc_column][/vc_row][vc_row][vc_column][vc_separator][/vc_column][/vc_row][vc_row][vc_column width=”1/2″][vc_single_image image=”1319″ img_size=”large”][/vc_column][vc_column width=”1/2″][vc_column_text]
100kg급 우주쓰레기 능동제거 기술개발
-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거대과학연구개발사업)
- 기간: 2022. 04. 01 ~ 2023. 12. 31 (1단계)
- 참여형태: 총괄주관기관 (공동연구기관: 연세대학교, KAIST)
- 연구개발 목표:
본 연구는 단일/다중 우주쓰레기 능동적 제거 임무의 전 주기 동안에 요구되는 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지상모의시험을 통해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100kg급의 우주쓰레기 제거 임무를 위한 임무개념 정립, 임무설계, 근접 운용 유도항법 및 제어 기반기술 개발, 포획 메커니즘 설계, 통합 시뮬레이터 설계 및 랩스케일 지상모의시험 장치 구축 및 알고리즘 검증 연구를 수행한다.
[/vc_column_text][/vc_column][/vc_row][vc_row][vc_column width=”1/2″][vc_single_image image=”1322″ img_size=”large”][/vc_column][vc_column width=”1/2″][vc_column_text]
소형발사체 임무 및 시스템 성능 설계 연구
-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스페이스파이오니어사업)
- 기간: 2022. 03. 01 ~ 2023. 12. 31 (1단계)
- 참여형태: 세부과제 (5세부) 참여 (총괄주관기관: 단암시스템즈)
- 연구개발 목표:
소형발사체 임무 및 시스템 성능 검증을 위한 시스템 통합시험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
– 소형발사체 동역학적 모델링 및 수치 시뮬레이션 모델 작성
– 소형발사체 탑재 에비오닉스 기능 모사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작성
– 소형발사체 시스템 성능 검증을 위한 비행 시퀀스 설계
– 소형발사체 유도제어 법칙 개발 및 시뮬레이션 검증
[/vc_column_text][/vc_column][/vc_row][vc_row][vc_column width=”1/2″][vc_single_image image=”1324″ img_size=”large”][/vc_column][vc_column width=”1/2″][vc_column_text]
영상기반 다수무인기 협력적 다중 목표물 추적 알고리즘 개발
-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러시아 과학기술 공동연구사업)
- 기간: 2021. 09. 20 ~ 2023. 06. 19
- 참여형태: 주관기관 (해외협력기관: Ufa State Aviation Technical University)
- 연구개발 목표:
본 과제의 최종 목표는 고정익/회전익으로 이루어진 다수무인기 편대가 다수의 움직이는 지상 목표물을 추적하는 임무에서 적용 가능한 다수무인기 임무할당기법, 장애물 회피 경로계획, 외란에 강건한 다수무인기 군집 유도제어 기법, 그리고 영상기반 목표물 검출 및 추적 기술을 연구하고, Hardware-in-the-loop 시뮬레이션 환경 및 소형 무인기편대를 활용한 비행시험을 통해서 개발된 기술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vc_column_text][/vc_column][/vc_row][vc_row][vc_column width=”1/2″][vc_single_image image=”1198″ img_size=”large”][/vc_column][vc_column width=”1/2″][vc_column_text]
신개념 틸트로터형 UAM설계 및 축소기 제작을 통한 비행성능 시험
- 지원: 한국항공대학교 (교비 특성화 과제)
- 기간: 2021. 11. 01 ~ 2024. 10. 31
- 참여형태: 연구책임 (공동연구원: 배재성, 박상혁 교수님)
- 연구개발 목표:
본 과제의 목표는 신개념 UAM 기체를 설계하고 이의 감항성을 확인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틸트로터 추진계통 설계, 공기역학을 고려한 최적 형상 설계, 전기체 구조설계, 비행제어 알고리즘 설계를 수행한다. 비행성능 검증을 위해서는 실기체 설계안을 바탕으로 축소모델을 제작하고, 비행시험을 수행하여 전 비행구간에서 요구성능과 비행안정성을 확인하도록 한다.
[/vc_column_text][/vc_column][/vc_row]